본문 바로가기
신기한

신기한 과학 이야기: 전깃줄에 앉은 새의 비밀

by 퀴즈키키 2025. 4. 3.
반응형

전선에 앉은 새



전깃줄 위에 앉은 새들은 왜 감전되지 않을까?


하늘을 나는 새들이 고전압의 전깃줄 위에 앉아 쉬는 모습은 누구나 한 번쯤 본 적 있는 흔한 모습니다. 보통은 수천 볼트의 고압 전기가 흐르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새들은 감전되지 않을까?

정답은 “전위차”에 있어!

전기가 흐르려면 전류가 이동할 길, 즉 "전위차(전압 차이)"가 필요하다.
하지만 새는 두 발이 같은 전선 위에만 올려져 있어, 전기 입장에서는 들어온 지점과 나가는 지점이 똑같은 전위(전압의 차가 0)이다.
=> 전류가 새 몸을 통과할 이유가 없다.

하지만 전선을 잘못 잡으면…?

만약 새의 날개가 다른 전선에 닿거나 양쪽 발로 서로 다른 전선을 동시에 잡으면 전위차가 생기고, 전류가 새 몸을 통과하게 되는 "감전" 현상이 일어 난다.

사람이 전깃줄을 만졌을 때는 땅과 연결(접지)되기 때문에
전류가 몸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감전된다.
그래서 전기 관련 작업할 때는 고무장갑, 절연화, 접지 차단 같은 장비가 꼭 필요하다.

요약하자면,
새는 같은 전선 위에만 있을 땐 감전되지 않는다. 이유는 전위차가 없기 때문!

감전 현상

전류의 세기에 따른 감전 현상

반응형